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슈 알아보기

손예진, 244억 강남 건물주 되다? 위치부터 수익성까지 알아보자

by 단짠짠 2025. 3. 28.

손예진 강남 건물주 위치 수익성 공실

손예진, 244억 강남 건물주 되다? 위치부터 수익성까지 알아보자

 배우 손예진이 강남 한복판에 건물을 샀다는 소식,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단순한 연예계 뉴스가 아니라 부동산 투자 관점에서도 흥미로운 이슈인데요. 특히 그녀가 매입한 건물의 위치와 규모, 그리고 현재 상황까지 하나씩 들여다보면 많은 걸 배울 수 있습니다.

어디에 있는 건물일까?

 손예진이 매입한 건물은 서울 강남구 역삼동, 바로 강남역과 신논현역 사이 (역삼동 813번지) 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지역은 말 그대로 ‘초역세권’. 유동 인구가 하루 수십만 명에 이르는 상권의 중심지입니다. 대지면적은 약 277㎡(약 84평), 연면적은 724㎡(약 219평)으로, 지하 1층부터 지상 5층까지 신축된 상가 건물입니다. 기존에는 2층짜리 노후 건물이 있었지만, 이를 철거하고 5층 건물로 새로 지었습니다. 

매입가는 무려 244억 원

 이 건물은 2022년 8월, 손예진이 244억 원에 매입하면서 화제가 됐습니다. 단독 소유로 이름이 등기부에 올라 있으며, 등기부등본상 채권최고액 180억 원으로 미뤄볼 때 약 150억 원가량을 대출로 조달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단순 계산만으로도 연 이자만 6억 원, 월 5천만 원 수준입니다. 대출 이자가 만만치 않습니다. 

그런데 아직도 공실?

 문제는 이 건물이 2024년 6월 완공됐지만, 6개월이 넘도록 대부분의 층이 공실 상태라는 점입니다. 초역세권에 신축 건물인데 왜 임차인을 못 구할까요? 전문가들은 가장 큰 이유로 ‘높은 임대료’를 꼽습니다. 예를 들어, 2층의 경우 평당 임대료가 약 30만 원 선인데, 이는 40평 기준 월세 1,200만 원 이상이라는 얘기입니다. 관리비까지 더하면 부담은 더 커지죠. 경기 침체와 함께 소상공인들의 상가 임대 여력이 줄어든 것도 공실 장기화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 실패일까?

 그렇다고 해서 이 투자가 실패라고 단정짓기는 이릅니다. 강남 중심 상권은 단기 수익보다 장기 보유에 따른 자산가치 상승이 큰 지역입니다. 특히나 신축 건물의 경우 시간이 지나며 임차인을 맞이할 가능성도 높고, 전체적인 시장 분위기나 소비심리 회복에 따라 공실률은 자연스럽게 해소될 수 있습니다. 또한, 연예인이라는 ‘신뢰성’과 인지도도 향후 임차 유치에 긍정적 작용을 할 수 있겠죠.

연예인 건물 투자, 어떻게 봐야 할까?

 연예인의 부동산 투자는 자산 증식의 하나의 수단이자, 안정적인 수익 창출 방법입니다. 손예진뿐만 아니라 비, 권상우, 하정우 등 많은 스타들이 강남, 청담, 성수 등지에 건물을 보유하고 있죠. 이들은 일반인보다 투자 자금 여력도 크고, 매물 접근성도 높기 때문에 우량 자산을 확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여기서 배워야 할 것은 위치 선정, 자금 조달, 임대 전략 등의 부동산 기본입니다. 아무리 좋은 위치라도 무리한 대출과 비현실적인 임대료는 공실 리스크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손예진의 강남 건물 이슈는 단순한 연예 뉴스가 아닌, 부동산 투자와 운영에 대한 좋은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위치가 아무리 좋아도 임대료, 시장 상황, 수요 분석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수익화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죠. 반면, 장기적 관점에서는 다시 수익형 부동산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도 큽니다. ‘강남 건물주’의 꿈, 단순히 로망이 아닌 현실이 되려면, 신중한 분석과 준비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다시금 느끼게 되는 사례였습니다.

댓글